Amazon WorkSpaces란? 2025년 원격 근무 비용 절감 방법부터 도입까지 완벽 가이드
- SmileShark Team
- 7월 1일
- 8분 분량
최종 수정일: 4일 전
아마존 워크스페이스란? 2025년 원격 근무 비용 절감 방법부터 도입까지 완벽 가이드

Written by Hyojung Yoon
안녕하세요, 오랜만의 블로그로 돌아온 브랜드팀 리드 윤효정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우리의 일하는 방식이 많이 변화했습니다. 2024년 8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매일경제가 분석한 결과, 한국의 재택 근무자는 약 68만 3천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3.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Gartner는 2023년 말까지 전 세계 지식 근로자의 39%가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일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2025년 현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 이제 기업들은 새로운 고민에 직면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직원들이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게 업무를 할 수 있을까?"
"원격 근무 인프라 구축에 드는 막대한 비용을 어떻게 절감할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을 하고 계셨다면, 오늘 소개해 드릴 Amazon WorkSpaces(아마존 워크스페이스)가 그 해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왜 지금 Amazon WorkSpaces가 필요한가요?
원격 근무 시대의 도전 과제
재택이나 원격 근무로의 전환을 꾀하거나 하이브리드 형태의 근무를 허용하는 기업들이 이전보다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동시에 기업에 여러 과제를 안겨주었는데요,
첫째, 보안 문제입니다. 직원들이 개인 기기로 회사 데이터에 접근하면서 보안 위협이 증가했습니다.
둘째, 인프라 비용입니다. 모든 직원에게 노트북이나 컴퓨터를 지급하고 VPN을 구축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소요됩니다.
셋째, 관리의 복잡성입니다. 흩어진 기기들을 관리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은 IT 담당자(혹은 팀)에게 큰 부담입니다.
Amazon WorkSpaces가 제시하는 해결책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클라우드 기반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입니다. 그 중에서도 Amazon WorkSpaces(아마존 워크스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 Amazon 내부 사례
25,000명의 글로벌 계약직 및 원격 근무 직원을 지원하면서 연간 1,700만 달러 절약
= 직원 1명당 연간 $680 절감 (*1인당 $680 절감은 단순 계산에 의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비용 절감 효과는 단순히 하드웨어 구매 비용을 줄인 것이 아니라, 운영 효율성 향상과 보안 강화를 통해 달성한 것입니다.
Amazon Workspace란?
Amazon Workspace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되는 완전 관리형 데스크탑 가상화 서비스(Daas, Desktop-as-a-Service)입니다.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기존 업무에 사용하던 데스크탑 환경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은 AWS가 제공하는 안전한 인프라 위에서 운영됩니다. 회사가 아니라 집, 카페, 심지어 해외 출장 중에도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회사 PC에 접속한 것처럼 업무를 볼 수 있게되는 거죠.
VDI VS DaaS: 차이점
많은 분들이 VDI와 DaaS를 헷갈려하시는데요, 핵심적인 차이점만 쏙쏙 뽑아 설명드리겠습니다.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는 기업이 자체 데이터센터에 가상 데스크탑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자동차를 직접 구매해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모두 직접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반면, DaaS(Desktop-as-a-Service)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가상 데스크탑 인프라를 호스팅하고 관리하여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이는 자동차를 리스하여 사용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유지보수는 리스 업체가 알아서 관리해주고, 우리는 편하게 사용하면 되는거죠.
VDI | DaaS | |
---|---|---|
초기 투자 | 높은 초기 하드웨어 투자 비용 | 월별 구독료 |
관리 부담 | 사내 IT 팀이 직접 관리 | 공급업체가 관리 |
확장성 | 제한적 | 더 빠르고 유연한 확장/축소 가능 |
비용 구조 | 자본 지출(CapEX) | 운영 지출(OpEX) |
💡 참고: 시장에서 'VDI'를 두 가지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좁은 의미: 온프레미스 가상 데스크탑 인프라만 지칭
• 넓은 의미: 가상 데스크탑 기술 전체 (VDI + DaaS 포함)
따라서, VDI 시장 규모라고 하면 보통 DaaS를 포함한 전체 가상 데스크탑 시장을 의미합니다. Amazon WorkSpaces는 명확히 DaaS 서비스이지만, 큰 틀에서는 VDI 시장의 한 부분으로 분류되는거죠.
실제 도입 사례와 성과
이론적인 이야기보다는 실제 기업들이 Amazon WorkSpaces를 도입해 어떤 성과를 거뒀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Ferrari(페라리) 사례
도전 과제: 페라리는 500개 이상의 외부 협력 업체와 함께 일하고 있었습니다. 최신 자동차 디자인 도면 같은 중요한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협업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습니다.
해결책: Amazon WorkSpaces를 통해 각 협력 업체에 격리된 가상 데스크탑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데이터는 페라리의 통제 하에 있으면서도 협력 업체는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성과:
배포 시간 90% 단축 (수일 → 1시간)
보안 수준 향상으로 설계 데이터 유출 위험 제거
협력업체 온보딩 프로세스 간소화
2) Kyowa Kirin(協和キリン) 사례
도전 과제: 제약회사는 HIPAA 같은 엄격한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동시에 연구원들이 어디서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하는 과제가 있었습니다.
성과:
일본과 미국에 1,600개 이상의 WorkSpaces 배포
온프레미스 VDI 대비 30% 비용 절감
규정 준수 자동화로 감사 대응 시간 단축
직원 만족도 향상
3) 팬데믹 시기의 긴급 대응 사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Amazon WorkSpaces의 민첩성은 더욱 빛을 발했습니다.
Fox Corporation: 5,000명 전 직원의 원격 근무 환경 구축
MRS BPO: 콜센터 직원 700명을 단 2일만에 원격 근무로 전환
이러한 민첩성은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큰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Amazon WorkSpaces의 주요 기능
WorkSpaces가 지원하는 환경
Amazon WorkSpaces는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디바이스에서 접속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운영체제 지원:
Windows Server 2016, 2019, 2022
Windows 10, Windows 11
Amazon Linux 2
Ubuntu 22.04 LTS
Rocky Linux 8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지원:
Windows PC, Mac, Linux 컴퓨터
Chromebook
iPad, Fire, Android 태블릿
웹 브라우저 (별도 설치 없이 접속 가능)
WorkSpaces의 강점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처음부터 클라우드를 위해 설계되어 빠른 구축 가능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비용 구조: 숨겨진 비용 없음
AWS 생태계와의 완벽한 통합: EC2, Lambda, S3 등과 자연스럽게 연동
글로벌 인프라: 전 세계 어디서든 안정적이 서비스
⚠️ 단, 모든 서비스가 그러하듯 Amazon WorkSpaces도 몇 가지 제한사항이 있습니다.
• 멀티세션 기능 부재로 한 WorkSpace를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 Microsoft 중심 기업의 경우 Azure Virtual Desktop과 비교하여 어떤 것이 더 좋은지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 5,000명 이상의 대규모 조직은 온프레미스 VDI와 TCO를 산정하여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WorkSpaces 유형
Amazon WorkSpaces는 두 가지 유형을 제공합니다. 각각의 용도가 다르니 비즈니스에 맞는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 전문가 팁
처음 도입하시는 경우, Personal과 Pools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정규직은 Personal로, 인턴이나 프로젝트 인력은 Pools로 운영하면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WorkSpaces Personal (지속형) | WorkSpaces Pools (비지속형) | |
---|---|---|
설명 | 개별 사용자 전용 가상 데스크탑 |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가상 데스크탑 풀 |
데이터 유지 | 사용자 설정 및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유지 | 로그아웃 시 초기 상태로 복원 |
적합한 용도 | 일반 사무직, 개발자 | 콜센터, 교육실, 임시 직원 |
사용 경험 | 자신만의 PC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 | PC방처럼 누구나 사용 후 초기화 |
성능 번들 옵션
Amazon WorkSpaces는 업무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성능 옵션을 제공합니다. 마치 자동차를 고를 때 경차부터 고급 세단까지 선택할 수 있는 것 처럼요.
*아래 표는 AWS 공식 카테고리가 아니며 이해를 돕기 위해, GPU 메모리 사용 여부에 따라 구분한 예시입니다.
1) 범용 번들 (General Purpose/Non-GPU)
범용 번들은 사무, 비즈니스, 개발 등 다양한 업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번들입니다. GPU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CPU와 메모리 중심의 업무(오피스, 개발, 데이터 분석) 등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vCPU | 메모리 | 루트 볼륨 | 사용자 볼륨 | 적합한 용도 | |
---|---|---|---|---|---|
Value | 1 | 2GB | 80GB ~ 100GB | 10GB ~ 100GB | 기본 작업, 이메일 |
Standard | 2 | 4GB | 80GB ~ 175GB | 10GB ~ 100GB | 일반 비즈니스 업무 |
Performance | 2 | 8GB | 80GB ~ 175GB | 10GB ~ 100GB | 대용량 파일 처리 |
Power | 4 | 16GB | 80GB ~ 175GB | 10GB ~ 100GB | 데이터 분석, 개발 |
PowerPro | 8 | 32GB | 80GB ~ 175GB | 10GB ~ 100GB | 고성능 컴퓨팅 |
GeneralPurpose.4xlarge | 16 | 64GB | 175GB | 100GB | 대규모 컴파일, 복잡한 시뮬레이션 |
GeneralPurpose.8xlarge | 32 | 128GB | 175GB | 100GB | 최고 성능 요구 작업 |
2) GPU 메모리를 사용하는 번들(GPU-enabled bundle)
GPU 메모리를 사용하는 번들(GPU-enabled bundles)은 NVIDIA GPU를 활용해 그래픽 작업, 3D 렌더링, 미디어 제작 등 고성능 그래픽/연산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vCPU | 메모리 | GPU 메모리 | 로컬 스토리지(NVMe) | 적합한 용도 | |
---|---|---|---|---|---|
Graphics.g4dn | 4 | 16GB | 16GB | 125GB NVMe | CAD, 설계, 아키텍처 |
GraphicsPro.g4dn | 16 | 64GB | 16GB | 225GB NVMe | 미디어 제작, 3D 렌더링, ML |
관리 기능
1) 셀프서비스 기능
사용자들이 IT 팀에 요청하지 않고도 직접 할 수 있는 작업들이 있습니다. WorkSpaces 재시작이나 볼륨 크기 증설, 컴퓨팅 타입 변경 등이 있는데요, 이런 기능들 덕분에 IT팀의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2) 통합 및 연동
기존 IT 인프라와의 완벽한 통합이 가능합니다.
Active Directory 통합 (기존 사용자 계정 그대로 사용)
Microsoft 365 애플리케이션 지원
AWS 서비스와의 원활한 연동 (S3, EC2 등)
최근 주요 업데이트
Amazon WorkSpaces는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기능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1) Amazon WorkSpaces Core
Amazon WorkSpaces Core는 기존의 AWS Directory Service 없이도 EC2 기반 Windows 데스크톱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보유한 Microsoft Windows 라이선스(BYOL, Bring Your Own License)를 활용해 데스크톱을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기존의 Microsoft 라이선스 계약을 보유한 조직에서 비용 효율성과 운영의 단순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VDI 파트너 솔루션과의 연동을 지원해 기존 인프라와의 원활한 통합이 가능합니다.
2) Amazon WorkSpaces Thin Client
2023년에 출시된 Amazon WorkSpaces Thin Client는 비용 효율적인 전용 단말기로, 신속한 배포와 중앙 집중식 관리, 강력한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로컬 데이터 저장 및 앱 설치 기능이 없어 보안성이 높으며, 원격 근무 및 콜센터 환경에 특히 적합합니다.
Amazon WorkSpaces 도입 가이드
이제 실제로 Amazon WorkSpaces를 도입하는 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현황 분석 및 요구사항 정의
먼저 현재 IT 인프라를 점검하고 사용자 수와 업무 패턴을 분석해야 합니다.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작성하고, 각 부서별 요구사항을 파악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해야 합니다.
"몇 명의 직원이 원격 근무를 할 예정인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하는가?"
"데이터 보안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2단계: PoC(개념 증명) 진행
10-20명의 파일럿 그룹을 선정하여 2주간 테스트 운영을 진행합니다. 이 기간동안 실제 업무 환경에서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수집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합니다. PoC 단계에서는 다양한 번들 타입을 테스트하여 각 부서에 맞는 최적의 구성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3단계: 본격 구축
AWS 계정을 생성하고 WorkSpaces 디렉터리를 설정합니다. 사용자별로 적절한 번들 타입을 결정하고, 보안 정책 및 네트워크를 구성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Active Directory 연동, VPN 설정, 보안 그룹 구성 등 기술적인 작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집니다.
4단계: 사용자 교육 및 배포
각 디바이스별 클라이언트 앱 설치 방법을 안내하고, 초기 로그인 및 설정 과정을 교육합니다. 사용자 매뉴얼을 제작하여 배포하고, 헬프데스크를 운영하여 초기 문의사항에 대응합니다.
5단계: 운영 및 최적화
CloudWatch를 통한 모니터링을 설정하고, 백업 정책을 수립합니다. 정기적으로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비용을 최적화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선을 진행합니다.
가격 정책과 비용 최적화
Amazon WorkSpaces 요금제
Amazon WorkSpaces는 두 가지 실행 모드와 이에 따른 과금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AlwaysOn (월별 정액제)
매월 고정 요금이 부과되며, 사용량에 관계 없이 동일한 금액이 청구됩니다.
풀타임 사용자에게 적합하며, 하루 4시간 이상 사용한다면 AlwaysOn 옵션이 유리합니다.
예측 가능한 월별 비용
WorkSpaces Personal 요금 Standard Ubuntu(2vCPU, 4GB 메모리, 루트볼륨 80GB, 사용자 볼륨 10GB) 사용시 월 $44 (2025년 7월, 아시아 태평양 서울 기준)
2) AutoStop (시간당 요금제)
WorkSpaces가 실행 중일 때만 시간 단위로 과금됩니다.
일정 시간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중지되어 컴퓨팅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스토리지 비용은 WorkSpaces의 상태와 관계없이 매월 고정 요금이 부과됩니다.
파트타임 사용자에게 적합하며, 인턴이나 단기 프로젝트 인력에게 추천합니다.
월 80시간 미만 사용 시 더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월 80시간 미만이라는기준은 AWS 공식 블로그 등에서 손익분기점 예시로 자주 제시되며, 실제 손익분기점은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비교는 AWS 요금 계산기를 활용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Amazon WorkSpaces 비용 최적화 전략
1) Cost Optimizer 도구 활용
사용자 패턴 자동 분석
최적의 요금제 추천
평균 20~30% 비용 절감 가능
2) Right-sizing 전략
사용자별 실제 리소스 사용량 모니터링
과도한 스펙의 번들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
정기적인 리뷰와 최적화
도입 시 고려사항
Amazon WorkSpaces를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연결이 필수입니다. AWS는 다음과 같은 최소 요구사항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최소 대역폭: 1Mbps (기본 작업)
권장 대역폭: 2-5Mbps(일반 업무)
그래픽 집약적 작업: 10Mbps 이상 권장
왕복시간(RTT): 100ms 미만 권장
규정 준수 및 데이터 주권
특정 산업이나 지역에서는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위치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 Amazon WorkSpaces는 전세계 여러 리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데이터 주권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리전을 선택해야 합니다.
보안은 원격 근무를 하는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이자 걱정거리 중 하나입니다. 아마존 워크스페이스는 이러한 걱정을 해소하고자 다음과 같은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AWS Key Management Service(KMS)를 통한 저장 데이터 암호화
TLS 1.2를 사용한 전송 중 암호화
VPC 보안 그룹을 통한 네트워크 격리
다양한 보안 표준 및 규정 준수 인증(SOC, ISO 27001, PCI DSS, HIPAA, GDPR 등)
특히 금융, 의료, 정부 기관처럼 엄격한 보안 규정을 준수해야하는 업종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경 관리 및 사용자 교육
새로운 시스템 도입 시 가장 큰 도전은 기술적인 문제가 아닌 사용자의 저항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접근을 권장합니다.
단계적 도입: 파일럿 그룹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확대
충분한 교육: 사용자 매뉴얼 제공 및 교육 세션 진행
지속적인 지원: 초기 도입 후 헬프데스크 운영
마무리
Amazon WorkSpaces는 변화하는 업무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강력한 솔루션입니다. 큰 초기 투자 비용 없이 빠르게 도입할 수 있고, 강력한 보안과 유연한 확장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접근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로 페라리, Kyowa Kirin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Amazon WorkSpaces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인 사례를 확인했습니다. 이제 여러분도 Amazon WorkSpaces를 통해 생산성을 유지하면서도 직원들에게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2025년 WorkSpaces Core의 신규 버전은 다양한 업무 환경과 요구사항에 맞는 선택지를 더욱 넓혀줍니다.
🚀 아마존 워크스페이스 도입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스마일샤크가 귀사의 원격 근무 인프라를 점검하고 최적의 WorkSpaces 환경을 구축해 드립니다.
Amazon WorkSpaces 도입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기업의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는 여정입니다. 기술적 검토부터 실제 구축, 운영 최적화까지 다양한 전문성이 필요한 프로젝트인만큼, AWS 공식 파트너사 스마일샤크의 도움을 받으면 시행 착오를 줄이고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원격 근무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