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WS Bedrock을 사용한 아키텍처 분석 feat. 아쉬운 결말

AWS Bedrock을 사용한 아키텍처 분석 feat. 아쉬운 결말

AWS Bedrock을 사용한 아키텍처 분석 feat. 아쉬운 결말

Written by Minhyeok Cha



생성형 AI에 대해 엄청 말이 많았을 때, 블록체인처럼 한 번 뜨고 지는 해인 줄 알아서 관심도 주지 않고 공부도 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ChatGPT나 Claude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사진이나 동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AI에 대한 글도 자주 보이더라고요.


이런 걸 보니 제가 많이 뒤쳐졌다는 걸 체감하고, 그나마 많이 사용중인 AWS - 그 중에서도 사용이 간단한 AWS Bedrock을 사용해 볼 생각입니다.


생성형 AI의 기본 용어나 기반이 되는 기술부터 정의 하는건 양이 많을 것 같아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AWS Bedrock 사용

AWS Bedrock 사용은 사실 너무 유명해져서 다 아실 수 있겠지만 이 서비스 사용은 서버리스, API 형식의 간단한 사용법이 있습니다. Claude 모델을 예시로 들면 다음과 같이 사용 가능합니다.


그런데 사용 방법을 알아도 목적 없이 쓰려니까 제자리걸음을 하는 것 같아, 우리 회사 블로그를 뒤적이다 보니 예전에 쓴 Well-Architected 관련 글이 눈에 띄었습니다. 이걸 섞어보면 괜찮은 결과물이 나오겠다 싶었고요.


그래서 다음과 같이 한 번 합쳐봤습니다.


간단 아키텍처 설명

  1. 자료를 넣고 결과를 출력하는 2개의 버킷

  2. Lambda

    1. Bedrock API call 및 Prompt 사용

    2. FPDF import (PDF를 받기 위함)

      1. 한글 폰트 적용

  3. Bedrock - Lambda에서 요청한 text 출력


Lambda에서는 layer를 통해 python 라이브러리 중 PDF를 뽑을 수 있도록 해주는 FPDF와 한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폰트 파일을 올렸습니다.


Bedrock API는 위 스크립트를 참고하시고 저같은 경우는 아키텍처를 삽입하여 Well-Architected 관점의 개선사항을 출력하도록 텍스트를 집어 넣었습니다.


테스트 용으로 넣은 아키텍처는 간단하게 3-Tier 이미지를 사용했습니다.


Lambda 로그는 CloudWatch 로그 그룹에서 확인합니다.

라고는 했지만 따로 로그 출력문을 만들진 않았고 동작 확인 정도만..

이후 결과물 버킷 확인

잘 나오긴 했지만, 제가 원하던 것은 이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AWS Bedrock을 이용해 진행해봤지만, 퀄리티가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말투도 바꾸고 싶고, 보여줄 정보와 숨길 정보를 구분하고 싶은데 방법이 마땅치 않았습니다.



Bedrock Knowledge base

우리가 간단하게 접근하는 ChatGPT나 Claude도 자기만의 모델을 쓰고 있으며, 이는 각 회사에서 충분히 학습시킨 그들의 모델을 저희가 빌려쓴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제 목적은 Well-Architected에 대해 전문적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런 면에서 AWS Bedrock이 제공하는 Knowledge base 기능이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Knowledge base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RAG을 지원함으로써 관련성이 높고 정확한 맞춤형 응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외부 지식 소스에서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LLM의 응답 생성을 보강하는 방법입니다. 작동 방식: • 검색 (Retrieval): 주어진 쿼리나 질문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 데이터베이스나 지식 베이스에서 찾습니다. • 증강 (Augmentation): 검색된 정보를 원래의 프롬프트에 추가합니다. • 생성(Generation): 증강된 프롬프트를 바탕으로 LLM이 응답을 생성합니다.

Knowledge base 만들기

Bedrock에 들어가면 위 사진처럼 하단에 지식 기반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클릭하면 필요한 리소스를 제공하라고 나옵니다.


저는 간단하게 S3에 CSV 파일을 넣어 만들어 봤습니다. 이 외에도 크롤링이나 다른 서비스를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추가로 Knowledge base API를 사용하는데 이미지는 임베딩 값이 너무 커서 (2만자 제한) 이미지를 읽지 못합니다.

스마일샤크 GenAI SA 김현민님께 조언을 받은 결과 Multi Modal RAG를 사용한 이미지 분할 임베딩 후 Prompt와 연관을 짓는 맵핑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Knowledge base는 기본적으로 임베딩 값이 Opensearch Serverless에 들어가기 때문에 CSV 파일 및 쿼리할 이미지 임베딩 값을 하나의 Opensearch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 최종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 설명까진 양이 생각보다 많아 스킵하겠지만 간단한 Bedrock API 사용 설명 및 결과물을 하나씩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사용할 Lambda가 저기에 붙어있는 서비스의 권한들을 할당받아야 하는게 먼저여서 S3 in/output 권한과 bedrock 그리고 opensearch가 있는데 이때 Bedrock에서 만들어 주는건 serverless고 권한도 그에 맞춰야 합니다.

위의 aoss가 serverless이고 아래 es가 opensearch 입니다.

추가로 opensearch serverless는 Bedrock Knowledge base 생성시 자동으로 만들어지며 이 부분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짜여있지만 Lambda는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Lambda ARN을 기입하셔야 임베딩 벡터가 삽입됩니다.


사용된 함수 설명

  • image_embedding

    • 모델: amazon.tita-embed-image-v1

    • 역할: 이미지를 벡터로 임베딩합니다. 이 임베딩은 이미지의 특성을 수치화한 표현으로, 나중에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하거나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임베딩된 벡터값을 확인합니다. 해당 임베딩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해보니 위에서 나온 글자 제한 수에 걸려서 출력이 안된게 잘 나왔습니다.

  • analyze_image

    • 모델: anthropic.claude-3-sonnet-20240229-v1:0

    • 역할: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성합니다. 이 모델은 아키텍처 이미지를 색상, 행동, 텍스트, 운용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설명을 제공합니다.


  • query_knowledge_base

    • 모델: anthropic.claude-3-sonnet-20240229-v1:0

    • 역할: 이미지 설명을 바탕으로 지식 기반에서 관련 정보를 추출하거나, 관련 정보가 없는 경우 이미지 설명에 대한 일반적인 분석이나 해석을 제공합니다.


위의 이미지 임베딩 값, input으로 넣은 이미지 분석, 이를 토대로 한 매핑 작업, 마지막으로 knowledge base 데이터 소스를 끌어와 query_knowledge_base 함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출력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Well Architected 전부를 부르면 양이 많을 것 같아 보안 기둥의 일부분만 출력하도록 prompt를 사전에 작성했습니다.

잘 불러와지기는 하지만 출력한 pdf가 출력된 글이 너저분하게 표시되네요. 해당 부분을 교정하는 작업과 knowledge base 데이터를 조금 더 개선해야 할 상황이 보이긴 합니다. (예시로 넣은 prompt: SEC의 각 숫자에 대해 괄호 안의 정보가 직접 넣은 knowledge base 데이터 소스와 조금씩 다름)



마무리 (아쉬운 점)

사실 이 AWS Bedrock을 사용한 아키텍처 분석에 Well Architected를 첨가하여 계획하고 구성하는 것 까지는 좋았으나 아쉬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먼저 Well Architected는 리소스 기반의 체크리스트도 있지만 회사 운영 프로세스를 잘 관리하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또한 많습니다. 이는 하나의 아키텍처로는 전부 출력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개선 사항에 프롬프트를 리소스를 기입하거나 회사 지침 등을 추가하여 체크 여부를 늘릴 수 있도록 해야 더 많은 내용이 나올 것 같네요.


다음 사항은 코드도 잘 몰라서 찾아 헤매다 보니 LangChain 프레임워크의 존재 여부를 너무 늦게 알아버린 것입니다. 혹시 다른 분들은 참고하실 수 있도록 LangChain 개념과 관련된 링크를 하나 추가합니다. (저도 읽어보러 가보겠습니다.)


랭체인(LangChain) 입문부터 응용까지

조회수 65회댓글 0개

관련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